생활꿀팁/정책 및 제도

📌 청년 자산 형성 꿀팁 – 청년도약계좌부터 희망두배 청년통장까지!

_정이 2025. 6. 2. 18:00
728x90
반응형


청년이라면 무조건 챙겨야 할 자산 형성 지원 제도 3가지!
목돈 마련, 저축 습관, 월세 부담 완화까지!
오늘은 청년도약계좌, 희망두배 청년통장, 청년월세지원을 하나씩 쉽게 알려드릴게요.




1️⃣ 청년도약계좌

5년 후 최대 5,000만 원 자산 형성!

✅ 청년도약계좌란?
청년들이 목돈을 모을 수 있도록 정부와 금융기관이 함께 지원하는 제도.
월 최대 70만 원씩 저축하면 5년 후 최대 5,000만 원까지 자산 형성 가능!
(본인 저축액 + 정부지원금 + 이자)

✅ 지원 대상
• 만 19~34세 청년
• 연소득 7,500만 원 이하
• 근로·사업소득 있는 자 (소득증빙 필수)

✅ 혜택
• 5년간 저축 시 최대 5,000만 원 수령 가능
• 중도해지 시 정부지원금은 미지급, 이자만 지급

✅ 신청 방법
• 주요 시중은행 앱 또는 홈페이지
• 소득 증빙 서류 제출 후 본인 인증

✅ 꿀팁
• 매달 최대 70만 원까지 저축 가능 (본인 여유에 따라 선택)
• 금리+정부지원금이 붙어서 일반 적금보다 훨씬 유리!



2️⃣ 희망두배 청년통장 (서울시)

내가 저축한 만큼 2배로 돌려주는 통장!

✅ 희망두배 청년통장이란?
서울시에서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만든 지원 제도.
청년이 월 10~15만 원씩 저축하면, 서울시가 똑같이 지원금(1:1 매칭)을 넣어주고, 이자까지 합산해서 최대 2배 이상 돌려주는 제도!

✅ 지원 대상
• 만 18~34세, 서울시 거주 근로 청년
• 월평균 소득 255만 원 이하 (세전 기준)
• 부양가족 소득 조건: 연 1억 원 미만 / 재산 9억 원 미만

✅ 혜택
• 저축액(월 10~15만 원) + 서울시 지원금(1:1 매칭) + 이자 = 2배 이상 자산 형성
• 저축 기간: 2년 또는 3년 선택

✅ 신청 방법
• 주소지 동주민센터 방문, 이메일, 또는 우편 접수
• 선발 방식: 소득·가점제 (소득 낮을수록 유리)

✅ 꿀팁
• 매년 상반기에 모집 (2025년 일정은 추후 공지)
• 경쟁률 높으니 모집 공고 나오면 꼭 바로 신청!



3️⃣ 청년월세지원

무주택 청년, 월세 부담 덜어주는 혜택!

✅ 청년월세지원이란?
정부에서 무주택 청년의 주거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매달 월세를 최대 20만 원까지 지원해주는 제도.

✅ 지원 대상
• 만 19~34세 무주택 청년
• 중위소득 60% 이하
• 본인 명의 임대차 계약서 보유

✅ 혜택
• 월 최대 20만 원 지원 × 최대 12개월 = 총 240만 원
• 지원금은 집주인 통장이 아닌 청년 본인 계좌로 지급

✅ 신청 방법
•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
• 관할 주민센터 방문 신청도 가능

✅ 주의사항
• 2025년 공고는 5월 중순 이후 발표 예정
• 알림 신청해두면 놓치지 않음!
• 지역별 추가 지원 확인 필요 (예: 영암군은 매월 10만 원 추가 지원 중)


요약정리



👉 다음 글에서는
청년 생활비를 아껴주는 꿀팁!
청년 교통비 지원, 국민내일배움카드, 지자체별 지원금까지 꼼꼼히 알려드릴게요!
좋아요, 댓글, 구독 부탁드립니다❤️

728x90
반응형